본문 바로가기
애니멀

독수리 : 조류계의 거대한 청소부

by Trentiner 2024. 1. 22.

독수리

독수리의 생태

수리목 수릿과의 맹금류이며,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남부에서 서식하는 독수리는 아프로-유라시아(구대륙)에서 가장 큰 맹금류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맹금류입니다. 그의 거대한 크기는 날 수 있는 새 중에서도 1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탈아시아급의 거대한 사이즈로 인해 군대에서 이 새를 목격한 사람들은 독수리를 사람만큼 크다고 얘기하며, 지나친 과장이 아닙니다. 꼬리깃을 제외한 몸통 부분만 해도 성인 남성 상체와 유사한 크기를 자랑합니다. 몸통 크기만큼이나 익장은 최대 3m까지 자라며, 어떤 높이에서 날아도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로 큽니다.

독수리는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고사는 스캐빈저로 분류되며, 다른 스캐빈저인 까치, 까마귀, 하이에나 등과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이 새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없기 때문에 한반도에 살지 않는 것으로 오해될 수 있지만, 사실은 한반도가 독수리의 겨울 월동지로 알려져 있어 매년 2천 마리가 넘는 독수리가 날아옵니다. 몽골고원에서 번식하나 겨울에는 먹이가 부족해져 한반도로 이동하며, 이 특이한 현상에서 어린 개체일수록 날아오는 비중이 높다는 특이성이 있습니다.

 

대륙의 풀밭, 바위가 있는 산, 그리고 큰 삼림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는데, 주로 단독 생활을 선호하거나 암수가 함께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산란 기간은 주로 2-4월에 이루어지며, 한 번의 산란에 한 개의 알을 낳습니다. 이 생물은 특이하게도 강력한 근력에도 불구하고 사냥 능력이 부족하며, 대신에 짐승의 시체, 썩은 고기, 병든 짐승 등을 먹는다. 일반적으로는 강한 근력을 갖추고 있지만, 사냥에 특화된 능력은 보이지 않습니다.

독수리는 주로 짐승의 내장을 선호하여 먹는데, 이로 인해 농약에 중독되어 죽은 새의 내장을 먹어 농약이 농축되어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중해 서부부터 아시아 동부까지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참수리, 검독수리, 흰꼬리수리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이 생물은 겨울을 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독수리

독수리의 생김새

독수리는 훌륭한 비행 능력과 특이한 외모로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움과 경외감을 일으키는 새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수리의 몸길이는 1 ~1.1m 로 크며, 날개를 폈을 때의 길이는 2.3~ 3.1 m, 꼬리 길이는 29 ~ 41cm 정도에 이릅니다. 몸무게는 6kg에 이르며 대형 새로서 독보적인 체격을 자랑합니다.

독수리의 깃털은 암갈색으로 덮여 있으며, 특히 이마에서 머리에 이르기까지는 부드럽고 짧은 깃털로 덮여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목덜미와 뒷머리 부분은 깃털이 없어 피부가 드러나 있는데, 이는 그 특이한 외모를 부각하고 있습니다.

부리는 매우 크고 검은색 계통의 어두운 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강력한 부리는 사냥과 먹이를 처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독수리의 눈은 크고 날카롭게 이루어져 있어, 사냥에 필수적인 시각 능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독수리는 부리와 발에 큰 발톱을 갖고 있어 사냥과 먹이를 잡는 데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강력한 발톱은 먹이를 붙잡는 데 사용되며, 이는 독수리의 사냥과 생존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독수리

독수리의 스캐빈저 활동의 특징

독수리와 같은 맹금류들은 "벌처"로 분류되며, 이들의 목 부분 구조는 꽤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목 주위에 고리 모양으로 깃털이 난 것이 아닌, 코트 카라를 세운 듯 목을 완전히 감싸는 부분에 깃털이 풍성하게 나 있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목 부분의 특이한 구조는 두 가지 주된 이유로 추측됩니다. 

 

첫째로, 깃털이 많으면 동물의 사체에 머리를 집어넣어 부드러운 내장을 먼저 먹으려 할 때 이물질이 세균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는 체온 조절을 위한 것인데, 독수리들이 서식하는 지역의 기후적 특성 때문입니다. 한반도와 아프리카 사바나와 같이 기온 차이가 극심한 지역에서 생활하는 독수리들은 몸이 견딜 수 있는 극단적인 온도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목 주위의 깃털을 활용하여 체온을 조절합니다.

또한, 독수리는 무리 중에서 시체를 먼저 발견한 새가 먼저 먹고, 그 다음에 도착한 덩치 큰 새가 먹는 스빈징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스캐빈저의 특성은 독수리가 사체에서 발생하는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전염을 막아주어 생태계의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